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토이프로젝트
- react router dom
- React Query
- styled component
- 그리디
- 프론트엔드
- 토이 프로젝트
- 리액트
- 동적계획법
- 리액트 패턴
- tanstack query
- React
- Form
- Next.js
- 코테
- 프로그래머스
- reduxtoolkit
- 리덕스
- 리액트 라우터 돔
- revalidatepath
- 코딩테스트
- 자바스크립트
- react pattern
- tailwind
- Supabase
- 타입스크립트
- 스택
- JavaScript
- TypeScript
- 코어자바스크립트
목록2025/07/15 (6)
개발 블로그

1. SSH로 가상 머신(Ubuntu)에 접속하기 가상 머신이 켜져 있고 SSH 서버가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로컬 컴퓨터(PowerShell)에서 아래와 같이 접속합니다ssh 사용자명@가상머신_IP주소 ⚙️ 2. Node.js 설치하기 (우분투 터미널)가상 머신에 접속한 후, 다음 명령어로 Node.js를 설치합니다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y curlcurl -fs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lts.x | sudo -E bash -sudo apt install -y nodejs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명령어로 가상머신에서 Node와 NPM 버전을 확인합니다node -vnpm -v 우분투 터미널에서 node를 입력해 Node를 실행시..

가상 머신(우분투)에 SSH로 접속하면, 매번 가상 머신 화면을 직접 띄우지 않고도 로컬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이 글에서는 로컬 PC에서 우분투 가상 머신에 SSH로 접속하는 방법을 간단히 소개합니다. 가상 머신 네트워크 설정 확인가상 머신 소프트웨어(VirtualBox 등)에서 네트워크 모드를 브리지 모드 또는 호스트 전용 어댑터로 설정해야로컬 컴퓨터와 가상 머신이 같은 네트워크에 있어 IP 주소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PowerShell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입력합니다ssh 사용자명@가상머신_IP주소 가상 머신에 SSH 서버가 실행 중이어야 하며,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우분투 터미널에 접속됩니다.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우분투 터미널에 접속됩니다. 로컬 컴퓨터에서 S..

Ubuntu 가상 머신에 원격 접속하기 위해서는 SSH 서버 설정이 필수입니다.이 글에서는 SSH가 무엇인지 간단히 소개하고,가상 머신(Ubuntu)에 SSH 서버를 설치하고 본인 사용자 계정을 추가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SSH란?SSH(Secure Shell)는 원격 컴퓨터(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주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명령어 한 줄로 다른 컴퓨터에 접속해서 터미널을 사용하는 것처럼 조작할 수 있어 서버 관리에 매우 유용합니다.Ubuntu 가상 머신에 SSH를 설정하면,매번 VirtualBox 화면을 열지 않고도 로컬 PC에서 터미널로 바로 접속해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1. SSH 서버 설치 및 실행 가상 머신 우분투를 실행하고 터미널을 연뒤 다음 명령..

🐧 우분투(Ubuntu)란?우분투(Ubuntu)는 리눅스(Linux) 기반의 대표적인 데스크탑 운영체제 중 하나로, 오픈소스이며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2004년, 영국의 캐노니컬(Canonical Ltd.)이라는 회사에서 개발을 시작했고, 지금도 활발히 유지·보수되고 있는 배포판입니다.‘Ubuntu’라는 이름은 남아프리카의 철학에서 유래한 말로,"나는 우리가 있기에 존재한다(I am because we are)"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 중심의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우분투의 주요 특징1. ✅ 무료 & 오픈소스우분투는 완전 무료입니다. 라이선스 걱정 없이 누구나 다운로드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또한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원하는 경우 내부 코드를 분석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습니다.2..

🧩 가상환경이란?가상환경(Virtual Environment)은 실제 컴퓨터(호스트) 안에 또 하나의 가상 컴퓨터(게스트)를 만들어, 그 안에서 별도의 운영체제나 프로그램을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말합니다.쉽게 말해, 내 컴퓨터 안에 또 하나의 컴퓨터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됩니다.가상환경의 가장 큰 장점은 분리된 공간에서 실험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새로운 운영체제를 설치하거나 설정을 바꿔보더라도, 내 실제 컴퓨터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안전합니다.특히 **리눅스(Linux)**처럼 익숙하지 않은 운영체제를 공부하거나 실습할 때, 가상환경은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됩니다.📦 VirtualBox란?VirtualBox는 Oracle에서 개발한 무료 가상화 소프트웨어입니다.Windows..

💡 유닉스란 무엇인가?유닉스(UNIX)는 1969년 AT&T의 벨 연구소(Bell Labs)에서 개발된 운영체제입니다. 켄 톰슨(Ken Thompson), 데니스 리치(Dennis Ritchie) 등 몇몇 연구원들이 효율적이고 이식성이 뛰어난 운영체제를 만들기 위해 시작한 프로젝트로, 이후 컴퓨터 역사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유닉스의 핵심은 멀티태스킹과 다중 사용자 시스템을 지원하는 안정적인 구조에 있습니다. 특히 유닉스는 모듈화된 구조와 텍스트 기반의 명령어 인터페이스, 그리고 "모든 것은 파일이다"라는 철학으로 많은 개발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습니다.🖥 운영체제란 무엇인가?운영체제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자원을 관리하고, 사용자가 컴퓨터를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 ..